최다미 지식네트워크팀 연구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COVID-19)가 지속적으로 확산되면서, 기후변화와 질병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기후변화가 COVID-19의 확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없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이상 기후 현상이 발생하면서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파괴되고 그로인해 환경이 변하게 되어 바이러스 매개체 발생이 증가하거나 서식지를 잃은 야생동물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되는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218호_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출처: 망고보드>

기후변화와 질병 상관관계

□ 야생동물 서식지 파괴1)

○ 전염병학, 차단병역 및 공중보건 전문가들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인해 이상 기상 현상이 발생하여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파괴됨
○ 그로인해 서식지를 잃은 야생동물이 거주 지역이나 목축지로 이동하여 사람들의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 증가
○ 수의학 저널에 따르면, 지난 80년간 유행한 전염병들의 약 70%가 야생동물에 의하여 생김
– 예로, 에이즈 바이러스는 유인원, 조류인플루엔자는 새, 2009년 신종플루는 돼지, 사스와 에볼라 바이러스는 박쥐에 의해 비롯됨

 

□ 기후조건 변화
○ 미국 버지니아 공영방송 보도에 따르면, 기후변화와 산림 벌채가 바이러스 전파에 영향을 주며 습도 등 기후 조건이 바이러스 전파 속도를 좌우
○ 대한의학회 뉴스레터2)에 따르면, 온도, 습도, 강우, 해수면 상승 모두 감염 질환의 발생빈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짐
– 또한, 기후변화는 홍수 및 가뭄 등 자연재해 외에도 감염성 질환 발생의 발생 증가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고됨
– 매개체에 의한 감염질환의 경우 원인미생물, 매개체, 증식률(replication rate) 등이 기후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이에 따라 많은 변화가 발생3)
– 국내 연안의 해수 온도 상승 시 콜레라를 일으킬 수 있는 비브리오균 농도가 증가됨
– 특히, 모기를 매개체로 하는 질병과 수인성 매개 감염병인 설사와 영향 결핍 등도 사망과 질병 증가에 영향을 미침
– 뎅기바이러스의 경우 번식 비율이 온도상승과 비례한다고 밝혀져 특히 온대지역에서 기온 상승 시 뎅기열 유행이 증폭될 것으로 예상
○ 인수공통감염병 전파 매개체인 모기의 서식지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확대되면서 그로 인한 바이러스도 전 세계로 확산
○ 의학 학술지 랜싯(The Lancet) 2019년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인해 말라리아와 뎅기열 등 질병을 전파하는 모기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됨
○ 공공위생대학원 미생물학 및 면역학 전문가에 따르면, 기온이 상승하면 변화된 환경 속에서 살아남은 병원체가 사람의 체온에 더 잘 적응할 수 있음
– 현재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평균온도가 1.1도 상승, 따라서 바이러스와 병원체가 유발하는 전염병이 증가할 전망

 

□ 고온(heatwaves) 노출
○ 이상 고온 현상은 일사병, 열사병 등 폭염 관련 증상을 초래하며, 이상 고온이 지속되면 일상적인 활동에도 열사병을 유발
– 폭염은 중심체온을 올려 말초 혈관에서 발열을 위해 심박출량을 증가시킴
– 정상 온도에 비해 고온은 폐 모세혈관 쐐기압력이 조금만 변해도 심박출량에는 큰 변화를 초래함
○ 2016년 열사병 및 일사병과 같은 온열질환의 발생보고 증가
○ WHO에 따르면 이로 인해 2030년에 전 세계적으로 약 38,000명의 노인사망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 살모넬라균이나 콜레라균 등은 고온에서의 증식률이 높음
○ 동남아지역에 주로 유행하는 뎅기열, 열대열 말라리아의 국내 유입 가능성 등이 온난화에 따른 감염질환의 문제로 고려됨

EU의 닐스 스텐세트 박사 또한, 습하고 따뜻한 날씨에서 평상시보다 더 많은 박테리아가 생길 수 있고 기후변화로 흑사병이 더 강하게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4) 미래의 기후변화는 코로나19뿐 아니라 더 강하고 무서운 변종 바이러스와 전염병을 예견하고 있다. 국내외 기후변화 감염병 대응 현황에서 볼 수 있듯이, 정부와 시민단체의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참고자료

1) 그린피스(2020.02.25.) “과학자들의 경고, “기후변화가 전염병 확산을 부른다”“ https://www.greenpeace.org/korea/update/12074/blog-health-climate-virus/
2) 이현정(2016.10) “기후변화와 소화기질환” 대한의학회 http://kams.or.kr/webzine/16vol76/index.php?main_num=2
3) 김창오(2016.10) “기후변화와 노인질환” 대한의학회 http://kams.or.kr/webzine/16vol76/index.php?main_num=3
4) 동아닷컴(2020.03.14.) “[날씨 이야기]기후변화가 불러올 변종 바이러스”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314/100156411/1

※ 해당 게시물 내용은 기후변화센터의 공식 입장의 아닌, 작성자 개인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